상단여백
HOME 교육 대구시
국민 72.9%, “새마을운동 공유 국제기구 필요”광복 이후 국가발전에 영향을 끼친 정책 1위에 ‘새마을운동’

[국제i저널 = 대구 정정순기자] 우리 국민 72.9%는 새마을운동을 공유할 수 있는 국제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69.3%는 국제사회에서 빈곤 개선 프로그램으로 인정받고 있는 새마을운동을 ‘새마을학’으로 학문화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국민의 81.0%는 ‘지구촌새마을운동’ 추진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9.7%는 해외 지구촌새마을운동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내용은 영남대 최외출 교수(새마을국제개발학과·박정희새마을연구원장)가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광복 70주년 기념 새마을운동에 대한 국민 의식 조사’ 결과에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주)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7월 24~25일 실시된 이번 조사는 지역별‧성별‧연령별 인구비례 할당표집과 유무선전화 RDD(Random Digit Dialing), CATI(Computer Aided Digit Interview)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오차 허용범위 ±3.1%포인트다.

*개발도상국의 새마을운동 공유 시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79.8%가 ‘한국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으며, 51.1%가 해외에서의 새마을운동 위상에 대해 알고 있다는 의견을 나타났다.

*지구촌새마을운동이 적합한 대륙은 ‘아프리카(49.0%)>아시아(31.9%)>남미(2.6%)’ 순으로 응답했으며, 지구촌새마을운동의 역점 과제는 ‘더불어 사는 공동체 정신’(39.7%)>‘개발도상국 빈곤 퇴치’(37.7%)>‘기본을 지키는 의식개혁’(27.9%)>‘환경보존’(19.8%)>‘다문화 사회 포용’(15.8%)의 순으로 인식했다.

*새마을정신 계승 및 지구촌새마을운동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82.4%(매우 필요 27.2%+어는 정도 필요 55.2%)로 나타났으며, 지구촌새마을운동이 지향해야 할 가치(복수응답)는 ‘협동’(53.8%)>‘근면’(43.1%)>‘나눔’(37.4%)>‘봉사’(33.6%)>‘자조’(28.7%) 순으로 의견을 제시했다.

*광복 후 70년 동안 한국 경제의 비약적 발전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1970년대’(41.4%)> ‘1980년대’(28.9%)>‘1990년대’(10.3%) 순으로 응답해, 2010년, 2013년 조사 때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광복 후 국가 발전에 영향을 끼친 정책(복수응답)은 ‘새마을운동’(52.3%)>‘경제개발5개년계획’(44.4%)>‘수출주도형산업화’(25.0%)>‘중화학공업육성’(20.2%)>‘과학기술육성정책’(15.7%)>‘국토종합개발계획’(11.3%) 순으로 인식해, 새마을운동이 국가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새마을운동에 대해 알고 있다는 인지도는 88.1%로 나타나, 2010년 77.1%, 2013년(79.4%)에 비해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KOICA 등의 ODA 사업을 비롯 영남대 등 관련기관의 해외 전수 사업 등 국내외 새마을 관련 활동의 증가가 새마을운동 인지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새마을의 날에 대해서는 99.3%가 모르고 있다고 응답해, 2011년 제정된 새마을의 날(4월22일)에 대해 국민들이 거의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단계인 것으로 조사됐다.

*새마을운동 연상 이미지 조사에서는 ‘박정희 대통령’(35.6%)>‘새마을노래’(16.7%)>‘근면 자조 협동정신’(12.6%)>‘새마을깃발 엠블렘’(8.5%)>‘농촌풍경’(6.6%)으로 응답해 새마을운동 하면 박정희 대통령의 이미지를 가장 많이 떠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마을운동 시행 목표에 대한 조사에서는 ‘가난 극복’(56.6%)>‘의식개혁’(19.8%)>‘도시와 농촌의 격차 해소’(8.7%)>‘쌀 부족 해소’(5.2%)으로 응답해 가난 극복을 목표로 삼은 것으로 인식하는 의견이 많았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정치적 성향이 보수적일수록 이런 경향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새마을운동과 근접한 성격의 운동으로는 ‘잘살기운동’(61.0%)>‘농촌환경개선운동’(14.5%)>‘의식개혁운동’(11.0%)>‘소득증대운동’(8.8%)>‘사회운동’(2.7%)으로 인식해 새마을운동을 잘살기 운동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우세했다.

*새마을운동에 대한 정보 취득 경로는 ‘신문/TV/라디오/잡지’(33.6%)>‘초중고 수업 또는 교과서’(26.9%)>‘새마을운동에 직접 참여’(17.2%)>‘가족 친지 등 주변사람’(8.5%)>‘인터넷 자료’(6.2%)로 나타났다.

*새마을운동의 국가 발전 기여도 조사에서는 96.2%(매우 기여 64.6%+다소 기여 31.6%)가 ‘기여했다’는 의견을 보여, 2010년(95.8%), 2013년(95.7%) 조사 때와 비슷한 수준으로 새마을운동이 우리나라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절대적으로 많았다.

*새마을운동의 구(舊) 세대 살림살이 기여도 조사에서는 86.3%(매우 기여 34.8%+다소 기여 51.5%)가 살림살이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됐다는 의견을 보였다.

*새마을운동의 성과(복수응답)에 대한 조사에서는 ‘하면 된다는 자신감’(46.2%)>‘농촌생활환경개선’(43.6%)>‘경제발전’(39.3%)>‘국가근대화’(23.1%)>‘도농격차해소’(15.0%)>‘주민자치와 민주화’(6.8%)>‘여성참여확대’(4.6%)의 순으로 나타나 ‘하면 된다는 국민 의식 함양’을 가장 큰 성과로 꼽는 경우가 많았다.

*새마을운동이 국민에게 미친 영향에서는 ‘하면 된다는 자신감 고취’(29.3%)>‘가난 극복을 위한 자조의지 함양’(27.5%)>‘부지런한 국민성의 일깨움’(22.4%)>‘주민 참여에 의한 민주주의의 실천’(8.5%)>‘애향심 애국심 함양’(7.3%) 순으로 나타나 국민들에게 ‘자신감 ’를 심어준 것이 가장 큰 영향인 것으로 인식했다.

*새마을운동 추진 과정에서 박정희 대통령의 리더십 영향력에 대해서는 91.1%(매우 영향 69.2%+다소 영향21.9%)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응답해, 2010년(92.3%), 2013년(93.0%)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우리 국민 대다수가 새마을운동 추진에는 박정희 대통령의 리더십이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지구촌새마을운동의 전파 최적합 국가는 국내 53.2%, 해외 38.1%로 응답해, 국내에서의 새로운 새마을운동의 전개를 희망하는 국민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새마을운동 전파 최적합 집단은 ‘농어촌’(44.8%)>‘학교’(18.7%)>‘직장’(14.0%)>‘도시’(13.1%) 순으로 응답했으며, 국가 발전 단계별 지구촌새마을운동 최적합 순위는 ‘후진국’(45.6%)>‘개발도상국’(45.1%)>‘선진국’(7.0%)로 의견을 나타났다.

최외출 영남대 교수(새마을국제개발학과·박정희새마을연구원장)는 “이번 국민의식 조사는 새마을운동에 대한 세계 각국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 국민 대다수가 새마을운동의 개도국공유를 위한 국제기구의 설립과 새마을운동 학문화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특히 광복 70주년을 맞아 새마을운동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지구촌공동과제인 빈곤극복을 위한 새마을운동의 공유 확산과 인재양성 및 참여에 대한 긍정적 공감대를 확인한 것은 그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정정순  yeu3030@naver.com

<저작권자 © 국제i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정순의 다른기사 보기
여백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