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문화·연예 역사·문화 경주
2018 무술년 새해, 경주 신라대종의 용의 울음소리를 들으라!새천년을 열어갈 민족의 혼이 담긴 신라대종
▲신라대종 ⓒ국제i저널

[국제i저널=경북 권은희 기자] 신라대종의 주조 모델은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거종인 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이다. 섬세하고 우아한 무늬로 신라의 예술을 집대성한 최고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선녀가 끓어 앉아 두 손으로 향을 올리는 공양상은 생동감이 흘러넘치고, 청아하면서도 장엄한 소리는 듣는이로 하여금 신비로음과 경외심을 불러일으킨다.

성덕대왕신종의 종소리는 엄청나게 크면서도 저음의 긴 파장으로 끊어질 듯 끊어지지 않고 오랫동안 이어지는 여운이 큰 특징이다.

성덕대왕 신종에 새겨진 명문에 의하면 “그 모양은 큰 산이 선 듯하고, 소리는 용이 우는 듯 하여 위로는 하늘 끝까지 그 소리가 울려 퍼지고, 아래로는 지옥에까지 그 소리가 전해지니 종을 본 사람은 기이하다 하고, 그 소리를 들은 이는 복 받을 지어다”라고 했다.

하늘 높은 곳에서 땅속 깊은 곳에 이르기까지 천지를 울리며 한없이 울려 퍼지는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종소리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성덕대왕신종은 종의 보전을 위해 더 이상 종소리를 들을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 지난 1992년 제야의 종 타종 이후 1996년 학술조사와 2003년 개천절 타종행사를 마지막으로 타종이 중지된 것이다.

이에 대한 아쉬움이 너무나 큰 나머지 성덕대왕 신종을 이을 새로운 대종을 주조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계속해서 이어졌다.

이런 각 계의 여론과 시민들의 염원들이 모여 드디어 신라대종을 주조하게 되었다.

지난 2014년 3월 경주시장을 비롯한 50명의 인사로 주조위원회를 구성하고, 그해 9월 이 시대 최고의 장인과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모든 지혜와 정성을 모아 혼신을 다해 주조할 것을 결의하는 착수보고회를 가졌다.

성덕대왕신종의 크기와 모양, 소리 원형을 성공적으로 되살리기 위하여 수많은 고증자료의 연구와 검토가 이어졌다. 특히 7차례에 걸친 문양 자문회의를 통하여 신라대종의 외형 틀을 완성하였다.

신라대종 주조 장소는 삼국통일의 영웅인 김유신장군의 탄생지인 충청북도 진천의 성종사로 정했다. 주조 방식은 전통적인 종 주조 기법인 밀랍주조공법을 그대로 따랐다.

이렇게 주조된 신라대종은 높이 3.6m, 평균 두께 20.3cm, 무게가 20ton으로 성덕대왕신종보다 무게만 1톤이 더 무겁다. 이는 이 시대 최고의 기술을 투입하여 공극이 전혀 없이 쇳물로만 종 전체가 다 채워졌기 때문이다.

2016년 6월 24일에 종을 주조한 현지에서 주조관계자와 시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첫 울림식을 가졌다.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천 이백년의 세월을 건너 다시 만난 신라대종의 웅장한 모습과 신비로운 종소리에 매료되었다.

“형상은 산이 솟은 듯하고 소리는 용의 소리 같았다”는 성덕대왕신종 명문의 표현을 몸소 실감하며 감탄했다.

신라대종은 우리 시대의 최고의 장인과 전문가 그리고 학자가 3년여에 걸쳐 온갖 지혜와 정성을 쏟은 최고의 걸작이다. 후손에 전하여도 부끄럽지 않은 또 하나의 경주문화유산이자 대한민국 역사의 혼이 담긴 작품이다.

신라대종은 제야의종 타종을 비롯하여 국경일과 시민의 날, 신라문화제 등 우리시 기념일과 각종 축제일, 국내·외 귀빈이 방문할 때에 타종한다. 올해 초 3.1절을 기념해서 공식적인 첫 타종행사를 가졌고 올해 연말 처음으로 제야의 종 타종식을 갖는다.

신라대종은 관광객들이 경주에 오면 가장 먼저 찾는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천이백년 이상 경주에서 울려퍼진 성덕대왕신종도 만나고, 새롭게 주조된 신라대종의 웅장한 소리도 직접 몸으로 느껴보자.

이 땅에서 가장 융성했던 천년 왕국 신라의 강한 기운을 듬뿍 받아보자. 2018년 무술년 새해 첫 여행지로 경주에 꼭 가야하는 이유다.

권은희 기자  iij@iij.co.kr

<저작권자 © 국제i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여백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