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오피니언 칼럼·기고 대구시
안전·위기관리는 평상시 공조(公助), 협조(協助), 자조(自助)로부터!대구경북연구원 최용준 박사

[국제i저널 = 대구 정정순기자] 대구경북연구원(www.dgi.re.kr 원장 김준한) 최용준 박사는 7월 10일 「대경 CEO Briefing」 제399호를 통해 <안전·위기관리는 평상시 공조(公助), 협조(協助), 자조(自助)로부터!>라는 주제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안전사고 재발, 평상시 예방활동과 안전관리 역량 강화로 막아야

최근 지구온난화 등 기상이변과 급격한 사회구조 변화로 인해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는 안전·위기관리 역량보다 재난위험도가 더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안전·위기관리 역량을 더욱 강화하여 다시는 이러한 안전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재난의 발생에서부터 수습까지의 대응체계는 구조 및 구급·응급·복구활동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우리는 통상적으로 재난 발생 이후의 수습대책 마련에 정책의 중점을 두어 왔으나, 재난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철저한 원인 분석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를 통해 문제점이 드러난 부분은 안전·위기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평상시 철저한 예방활동을 전개하는 것이 재발 방지의 지름길이다.


안전·위기관리 역량 향상을 위한 과제

안전·위기관리를 위해서는 관련 주체들의 책임 있는 공조(公助), 협조(協助), 자조(自助)가 요구된다. 중앙정부, 지자체 등 공공부문의 공조(公助)와 지역사회가 서로 도와주는 협조 체제 구축을 통해 치밀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조(自助) 능력을 향상시켜 주민과 기업이 스스로 재난으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는 능력을 키워 나가야 할 것이다.


중앙정부, 지자체 등 공공부문의 공조(公助) 강화

공조(公助)를 위해서는 첫째, 대구·경북 지역별 안전·위험지수를 개발·보급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 안전·위기관리 실천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도시 및 지역, 사회구조 변화에 따른 기존 안전·위기관리 매뉴얼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셋째, 안전·위기관리 매뉴얼은 재난 발생 시 실천력과 실효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칭)위기관리대응 핸드북’ 형식의 매뉴얼 구상이 필요하다.

넷째, 재난에 대응한 도시 및 지역의 정비가 요망된다. 지역에 산재해 있는 안전취약지구의 경우, ‘(가칭)재난특별정비우선구역’으로 설정하여 우선적으로 정비를 시행함으로써 지역 방재력 향상을 도모한다.

다섯째, 노후장비 교체와 부족 장비 지원을 통한 소방력의 향상과 지자체간 광역 안전·위기관리 대응 능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대구·경북 합동 안전·위기관리 대처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지자체와 시민의 협조(協助)와 자조(自助)로 능동적 대응력 제고

협조(協助)를 위해서는 첫째, 매뉴얼 혼재에 따른 대응능력 저하 방지를 위해 평상시 대응행동의 책임과 행동범위를 적절히 설정해야 한다. 최근의 재난은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소관부서의 역할 분담과 협동 능력이 피해규모 최소화의 관건이 된다.

둘째, 재난 발생 시의 혼선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관련 기관과 민간단체의 협조사항은 미리 확인되어 있어야 한다.

자조(自助)를 위해서는 첫째, 시·도민 모두가 참여하는 능동적 안전·위기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시민들의 고질적인 안전불감증을 타파하기 위해 스스로 재난경감에 대하여 각성하고, 주민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발굴과 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안전문화 확산을 통하여 범시·도민의 안전대응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현재 대구·경북에는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안전문화운동협의회’가 구성되어 활동 중이므로 이를 더욱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정정순  yeu3030@naver.com

<저작권자 © 국제i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정순의 다른기사 보기
여백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