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경제산업 부동산 경상북도
LH 대구경북지역본부 올해 사업비 7,129억원 투입토지 및 주택 총 7,782억 공급, 매입·전세임대주택 4,561가구 공급

[국제i저널=경북 이연서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 대구경북지역본부는 올해 대구도남 조성공사비 741억원을 포함해 단지조성, 건물공사, 토지 취득 등에 총 7,129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고 7,782억원 상당의 토지(6,757억)와 주택(1,025억)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단지조성 등 사업비 집행 부분은 정상진행 중이나, 토지공급의 경우 산업유통용지 등 분양성이 높지 않은 용지가 공급대상물량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공급목표를 달성하기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이재용 LH대구경북지역본부장은 “대구 부동산 경기가 최근 몇 년간 침체된 상태로 전반적인 토지공급 여건이 좋지는 않다”며 “지자체와 공동으로 사업지구 별 수요 맞춤형 인허가변경, 국책사업 공동 유치 노력 등을 통해 초과 공급성과를 만들어 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부여된 정책목표를 달성하는데 안주하지 않고 지역의 고민해결을 위해 지역사회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지역 성장을 위한 적극적 역할을 감당할 것임”을 강조. 이를 위해 최근 구축한 ESG 전담조직을 중심으로 지자체 및 여러 이해관계자와 협력하여 빠른 시일 내 지역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한 기반조성 소식을 전할 수 있도록 관련업무 추진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LH대구경북지역본부는 ‘일을 믿고 맡길 수 있는 공기업, 함께 일하고 싶은 공기업, 소통이 잘 되는 공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투명하고 공정한 업무처리와 일 잘하는 조직이 되기 위한 일상쇄신활동을 전개하고, 대내외 협업과 소통은 본부장이 직속 ESG 전담조직을 통해 직접 챙겨가면서 불필요한 과정을 없애는 등 실효성을 극대화 할 예정이다.

■단지조성 및 건물공사 사업비

단지조성비는 총 3,254억원을 투입할 계획. 신규 착공 및 준공지구는 없으며, 지난해 말 착공한 경산대임 공공주택지구에 317억원, 대구연호 공공주택지구에 197억원, 포항블루밸리 산업단지에 1,297억원 등 투입예정이다.

건물공사비는 대구도남지구 853억원, 구미송정지구 196억원 등 총 2,341억원을 집행할 계획이며, 경주황성 고령자복지주택(137호) 등 4개 지구가 올해 신규착공하고 경산하양 LH천년나무 3단지 등 14개 지구 4,823호가 준공 예정이다.

■토지 및 주택공급

총 공급금액은 전년(6,859억원) 대비 10% 증가된 7,782억원으로 토지 6,757억원, 주택(임대주택 포함) 1,025억원임. 토지는 13개 지구에서 70만1000㎡를 공급대상으로 경산대임, 칠곡북삼지구 공동주택용지 6필지 16만7,000㎡ 및 대구국가산단 등 산업용지 26만2,000㎡를 공급예정이다.

주택은 2,963호를 공급하며 공공분양 및 공공임대 176호, 국민임대 등 임대주택 2,461호, 분양전환 196호 등임. 올해 분양아파트는 대구에서 공급계획이 없고, 경북지역도 4월께 영천문외지구 미분양 10여 호 공급에 그침. 하지만, 2023년에는 경산대임 신혼희망타운(약 1,500호)을 시작으로 공급이 본격화될 예정. 10년 공공임대는 경북혁신(3월, 145호), 대구옥포(7월, 21호) 등 166호, 공임리츠는 대구신서혁신 등 109호, 분양전환아파트는 대구옥포(1∼5월, 150호), 대구신서(5∼9월, 5호) 등 196호 공급예정이다.

■주거복지 사업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목표로 매입·전세임대주택 4,561가구를 신규공급하고 14만6,000가구에 대한 주택조사와 2,600가구에 대한 주택개보수 등 주거급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거복지 사업부문에서는 주택공급기능의 단순 수행을 넘어 지역사회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자체, NGO, 유관기관 등과의 적극적 협력을 바탕으로 포용적 주거안전망 구축을 지속 추진 중이다.

임대주택 입주민을 대상으로 한 무료검진 방문 상담 및 치료서비스 연계 지원, 유휴 주민공동시설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마련, 주거취약계층 맞춤형 주거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주거서비스 제공 추진 중이다.

또한, 희망상가 운영 및 단지 내 유휴공간의 사회적 기업 유치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취업정보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입주민을 대상으로 취업정보 및 창업공간 제공 등 취업연계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연서 기자  iij@iij.co.kr

<저작권자 © 국제i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연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여백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