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25일 2023 지방시대 주도 수소경제 대전환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습니다
이날 선포식에서는 2050 경상북도 수소경제 마스터플랜과 주요성과 향후 중점 추진 사업을 발표 했습니다.
![]() |
경북도는 ‘수소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세부 전략과제로 70개 기업을 유치하고, 수소 전문인력 3,000명 육성,수소전문기업 100개를 육성해 분산에너지원으로 건물 및 산업단지에 연료전지 1GW를 육성하며 한국수소기술원도 함께 유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수소생산·공급 기반 강화 세부 전략과제로는 수소복합터미널 구축과 수소배관망 구축,
하이브리드 청정수소생산 , 주요 거점별 수소출하센터 및 청정수소 생산기지를 구축해 본격적인 미래 수소시대를 대비한다는 복안입니다.
생활 밀착형 기반 확대 세부 전략과제로는 수소도시 조성 10개소와 수소차 보급 10,000대,
수소충전소 구축 35기, 국립수소과학관 설립 및 수소에코파크를 조성해 도민들이 수소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에너지분권 실현으로 기후위기 대응과 2050 탄소중립을 실현을 경상북도가 반드시 주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습니다.
국제아이저널 임가영입니다
임가영, 이순호 기자 iij@iij.co.kr
<저작권자 © 국제i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