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교육 대구시
대구한의대, 세계 최초의 비약물적 “중독제어연구센터” 지원 사업 선정

[국제i저널 = 경북 정정순기자] 대구한의대학교(총장 변창훈)는 최근 사회문제로 확산되고 있는 중독 질환(알코올, 마약, 게임, 인터넷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계 최초의 비약물적 중독제어의 뉴 패러다임 확립을 위한 인문사회와 자연과학간의 학제간 융합 연구를 과제로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한 “2015년 선도연구센터 지원 사업(Convergence Research Center, CRC)”에 선정돼, 대구한의대가 연구를 진두지휘하고 서울대와 연세대, 부산대, 대구대, 한의학연구원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하는 대형 사업으로, 1단계(2년) 평가를 거쳐 2단계(5년) 진입시 연구 지원금은 최대 152억원에 달한다.

선도연구센터 지원 사업(CRC)은 다양한 사회문제, 국민요구, 국가전략 등의 초학제간 융합으로서 해결해야 하는 주제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 있는 융합 연구인력들을 양성해 차세대 창조형·융합형 연구인력 양성 및 초학제적 융합분야(인문/사회/ 예술과 자연/공학융합)의 전략적 공동연구 수행을 통해 신개념의 창의적 결과물 또는 세계 수준의 신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센터를 선정해 지원하는 사업이다.

대구한의대학교는 이번 선도연구센터 지원 사업에 정신·경혈 커뮤니케이션(MAC ; Mind-Acupoint Communication)에 기반한 경혈자극과 인문사회학 기반 교육프로그램을 융합 연구하여 중독형성의 심리사회문화적 요인이 반영된 비약물적 중독제어 모형의 뉴 패러다임 확립과 융합연구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는“중독제어연구센터”설립을 위해 지원하게 되었다.

이번 선도연구센터 지원 사업은 대구한의대학교가 주관대학으로 사업을 진행하며 서울대, 부산대, 연세대, 대구대 5개 대학과 한의학연구원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하게 된다


연구책임자인 양재하 교수는“현 정부의 국정과제인 중독(알코올, 마약 등) 문제 해결을 위한 초학제간 융합 연구의 가속화 추진으로 우리나라의 사회문제인 중독 질환의 개인 맞춤형 중독예방 및 치료방법을 확립하여 사회경제적 손실(100조원 이상)을 줄이는데 이바지하고, 중독질환에 대한 치료 및 진단시장(3조원 이상) 진출의 교두보 확보를 통한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의료산업 활성화를 기대 한다.”고 말했다.

대구한의대학교는 이번 2015년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에 앞서 간장질환에 대해 전통 방제학의 약물배합이론과 첨단 기초의과학적 연구기법의 융합을 통해 한방 약물배합 이론의 객관성을 확립하고, 한의학·기초의과학의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 기초 한의과학자의 양성을 목표로 2011년도에 실시한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기초의과학분야의 방제과학글로벌연구센터(MRC)에 선정되어 7년간 총사업비 100억원을 지원받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천연물신약개발과 한방산업을 미래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2003년 7월 과학기술부로부터 한방생명자원연구센터를 지정 받아 당시 최초로 두 개의 지방자치단체(경상북도, 대구광역시)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하고 있으며, 2012년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 부터 국내 생산 및 유통 한약재에 대한 품질관리를 통한 안정성 확보와 국외로부터 수입되는 한약재의 통관 검사를 실시하는 한약재품질관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대구한의대학교는 최근 한국한의학교육 평가원에서 주관한 한의학교육평가에서 최고 등급(5년 인증)을 받았으며, 특성화사업단 중 전국 최대 규모 사업단 선정과 특성화 우수학과(명품학과) 선정,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IPP형 일학습병행제 운영기관 지정으로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현장실무형 인재를 양성해 2014년 8월 교육부가 발표한 대학 정보공시에서 대구·경북지역 4년제 대학 취업률 1위, 전국 취업률 7위(2014.6.1.기준‘다’그룹 졸업생 1,000명 이상)를 차지하였다.

변창훈 총장은 “이번 선도연구센터지원 사업 선정은 그간 대구한의대가 한방산업 육성과 한·양방 융합 특성화를 위해 노력한 결과로 중독치료 전문가 양성뿐만 아니라. 한의학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인문과학간의 학제간 융합을 통해 대학 특성화사업과 IPP형 일학습병행제 사업과 연계한 새로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정순  yeu3030@naver.com

<저작권자 © 국제i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정순의 다른기사 보기
여백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